최신글
-
정철의 A. D. 영어학습법 / 정철
서론https://youtu.be/ZLBWkK9MhX8?si=tyJ6lIRJ8oz5DRAl 집에 누워서 유튜브를 보다가 이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정철...? 어디서 들어본 사람인데...'라는 생각에 책을 찾아서 보게 되었다. 밀리의 서재 내 분류가 종교여서 맞게 찾은 건가 했는데 영어 학습법이 맞긴 하다. 종교로 분류되어 있는 것도 납득이 가는데... 이건 후술 소개위 유튜브 영상에서도 책과 비슷한 내용이 언급되는데, 영어를 단어단위로 읽는 게 아니라 여러 단어의 덩어리인 청크(http의 청크드 메시지와 같은 의미긴 하다)를 한 단위로 읽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점에 대해 얘기하고, 그를 위한 청크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설명하는 책이다. 좋았던 점은 이 청크에 대한 분류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다..
더보기
-
나는 독서해서 돈벌었다 / 서까남
서론https://youtu.be/1ALAQdB0rtI?si=Rl-1k14ivyh-eOou 집에 누워서 유튜브 보다가 저자의 책 광고를 보고 바로 구매하게 되었다. 영상의 내용처럼 저자가 책을 통해 인생이 변한 경험을 책으로 녹여낸 자기 계발서인데, 기존의 생각과 다른 지점이 많아서 좋았던 책이다. 소개 가장 좋았던 부분은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문해력과 배경지식으로 분류하고, 문해력을 위해 어려운 책을 읽으면 좋다는 얘기를 해서 어려운 책이 읽기 괴로운 책이 아니라 그 괴로움 자체가 도움이 된다고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일반적으로 책 두께가 두꺼우면 일단 손이 안 가는데, 오히려 그러한 괴로움이 문해력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좀 더 마음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
더보기
-
[화웨이] 네트워크 과제 10 - MPLS LDP 과제 진행
개요 지난 글에서도 말했지만 이번 과제는 vpn(cisco에서는 vrf)을 사용하여 같은 장비를 통과하지만 서로 분리된 망을 구성하는 과제이다. a1 P a2 \ / \ /b1 - PE PE - b2 / \ / \c1 P c2 이런 환경에서 a1-a2, b1-b2, c1-c2 간은 통신이 되면서, a/b/c 상호 간은 통신이 안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a1-a2는 핑이 되면서 a1-b1으로는 핑이 안되도록 하면 되는 과제이다. 단 a/b/c의 고객사 측 장비(이하 CE)에서는 최소한의 설정만 들어가도록 구성해야 하며, a-PE는 static으..
더보기
-
[화웨이] 네트워크 과제 9 - vpn-instance 과제 진행
개요저번 글에서도 말했지만 이번 과제는 vpn(cisco에서는 vrf)을 사용하여 같은 장비를 타지만 서로 분리된 망을 구성하는 과제이다. a1 P a2 \ / \ /b1 - PE PE - b2 / \ / \c1 P c2 이런 환경에서 a1-a2, b1-b2, c1-c2 간은 통신이 되면서, a/b/c 상호 간은 통신이 안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a1-a2는 핑이 되면서 a1-b1으로는 핑이 안되도록 하면 되는 과제이다. 단 a/b/c의 고객사 측 장비(이하 CE)에서는 최소한의 설정만 들어가도록 구성해야 하며, a-PE는 static으로, ..
더보기
인기글
-
[42서울] Born2beroot 설치 및 세팅만 정리
주의! 이것만 보고 평가받으면 절대 통과할 수 없습니다. 이대로만 진행하면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이 글은 평가를 통과하기 위한 글이 아님을 유의해주세요. 이 글은 평가표가 150줄 쯤 되는 대장정의 시작일 뿐입니다. 치트 시트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설명은 빼고 적었습니다. 데비안 설치 https://www.debian.org/releases/stable/debian-installer/ 가서 amd64 다운로드 먼저 누르고 시작 command + space에서 vir 검색하면 바로 버츄얼박스 나옴 당연히 아무것도 없을테니 위에 new 클릭 이름과 설정 하고 Continue 누른 다음부터는 엔터 눌러서 넘겨도 됨 잘 되면 start버튼 클릭. 잘 안되면 대부분 goinfre 용량 문제임..
더보기
-
[42 서울] 새로 들어오는 카뎃들을 위한 libft 가이드
서문다다음주에, 그리고 앞으로 42서울에 들어올 피씨너에서 카뎃으로 변신한 여러분! 이미 슬랙에서 신나게 축하했겠지만,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11시쯤 같이 밥 먹을 사람 없는데 제가 서초에 있으면 dm 주세요! 그 시간에 밥 먹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맨날 혼자 먹습니다. dm 주셔도 밥은 못 사드리고 그 대신 대망의 첫 과제, libft의 가이드를 드리겠습니다. 다만, 제가 하는 방식은 깊게 파는 쪽이라 효율적이진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과제를 후딱 끝내고 넘어가려는 분들에겐 별로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난 네가 과제하는 방식은 안 궁금하고 그냥 어떻게 풀었는지가 궁금해' 이 생각으로 들어오셨으면, 이 글보다는 제 [깃허브]를 읽으시는 게 빠를 것 같습니다. 1. 서브젝트와 평가지 분석...
더보기
-
[42서울] 미니쉘(minishell) 파싱, 그 후회와 참회의 기록.
서론 라 피씬 이후에 처음으로, 코드에 한이 맺히고 내가 이 길을 가는 게 맞나 하는 생각이 한 번씩 들 정도로 힘든 과제였다. 평소와 달리 코드의 깔끔함을 추구하지 못하고 3천 줄이 넘는 코드를 리팩터링 할 엄두가 안 나서 그냥 제출했다. 가장 크게 실수했다고 생각한 부분은 코드를 짤 때 처음부터 norminette 규정을 생각하고 만들었어야 했는데, 먼저 코드를 만든 다음에 노미넷을 지키려고 한 부분과 구조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바로 갈아엎었어야 했는데 계속 하나씩 수정하다가 나중에는 갈아엎기도 애매하고 계속 수정하기도 애매한 구석에 밀렸던 게 후회된다. 그런데 지나고 나서 생각을 해보니 이런 부분들이 결국 내가 스스로 불러온 재앙이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 부분들을 중심으로 미니쉘 과제의..
더보기
-
[42서울] 넷프랙티스(netpractice). 놀랄 만큼 쉽고 믿기 힘들 만큼 재미있는 과제.
서론 제목처럼 정말 쉽고 재미있는 과제였다. 사실 평가를 하면서 보니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조금 있어서 쉬웠던 것 같기는 한데,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사람도 2~3일 정도 공부하면 통과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평가를 하면서 느낀 게 네트워크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아예 문제 자체가 무슨 의미인지 모를 수도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처음 듣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계획이지만 잘될지는 아직 모르겠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실제와 조금 다른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ex. 스위치의 역할을 공유기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거나) 평가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15분짜리 평가지만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같이 이야기해야 하기 때문에 한 시간 정도 잡는 게 더 알맞..
더보기